주상훈 울산과기대 교수 등 연료전지 상용화 앞당길 新촉매 개발
입력 2013-09-24
기존 백금 촉매 비용의 10%

박구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왼쪽), 주상훈 울산과기대 교수.
울산과학기술대(UNIST)는 주상훈 나노생명화학공학부 교수와 박구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등이 철, 코발트와 같은 값싼 금속과 질소, 탄소로 이뤄진 ‘나노다공성 포피린 탄소’ 촉매를 개발했다고 24일 발표했다.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는 수소와 산소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차세대 자동차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수소를 전기로 바꿀 때 사용하는 백금 촉매의 부품 가격만 1000만원을 웃도는 등 비싼 부품 가격을 낮추는 게 대중화의 과제로 꼽힌다.
이번 연구 성과는 네이처 퍼블리싱 그룹이 발행하는 사이언티픽 리포트지 23일자 인터넷판에 게재됐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
'과학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업화 못하는 연구는 취미일 뿐 (0) | 2013.12.03 |
---|---|
드론 로봇이 책 등을 배달? (0) | 2013.10.15 |
"고효율 에너지 연구…'전력난' 잡아야죠" (0) | 2013.09.25 |
투싼 수소전지차는 '무공해 발전소'…캠핑때 전자제품에 전기 공급 가능 (0) | 2013.09.07 |
황주호 원장 "차세대 전지 핵심 원천기술, 지역기업 이전해 사업화 추진" (0) | 2013.09.07 |